소프트웨어 개발 보안
해당 Post는 소프트웨어 개발 보안의 개념과 함께 보안 취약점이 발생하는 경우
안전한 소프트웨어 개발을 위해 수행할 작업에 대해서 정리한 파일입니다.
1. 소프트웨어 개발 보안의 개요
소프트웨어 개발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보안 취약점을 최소화하여 보안 위협으로부터 안전한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기 위한 일련의 보안 활동
소프트웨어 개발 보안은 데이터의 기밀성, 무결성, 가용성을 유지하는 것을 목표로 함.
소프트웨어 보안 취약점이 발생하는 경우
- 보안 요구사항이 정의되지 않은 경우
- 소프트웨어 설계 시 논리적 오류가 포함된 경우
- 기술 취약점을 갖고 있는 코딩 규칙을 적용한 경우
- 소프트웨어의 배치가 적절하지 않은 경우
- 보안 취약점 발견 시 적절하게 대응하지 못한 경우
안전한 소프트웨어 개발을 위한 수행 작업
-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관련자들의 역할과 책임을 명확히 정의하고, 충분한 보안 교육을 실시
- 소프트웨어 개발 생명 주기(SDLC)의 각 단계마다 보안 활동을 수행
SDLC란? 소프트웨어 개발 방법론의 바탕이 되는 것으로,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기 위해 정의하고 운용, 유지보수등의 전 과정을 각 단계별로 나눈 것
- 소프트웨어 개발 보안을 위한 표준을 확립
- 재사용이 가능한 보안 모듈을 만들어 유사한 소프트웨어 개발에 사용될 수 있도록 한다
- 새로운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젝트에 사용될 수 있도록 보안 통제의 효과성 검증을 실시
2. 소프트웨어 개발 보안 관련 기관
행정안정부
- 소프트웨어 개발 보안 정책을 총괄
- 소프트웨어 개발 보안 관련 법규, 지침, 제도를 정비
- 소프트웨어 보안 약점을 진단하는 사람의 양성 및 관련 업무를 수행
한국인터넷진흥원
- 소프트웨어 개발 보안 정책 및 가이드를 개발
- 소프트웨어 개발 보안에 대한 기술을 지원, 교육과정 및 자격제도를 운영
발주기관
- 소프트웨어 개발 보안의 계획 수립
- 소프트웨어 개발 보안 사업자 및 감리 법인을 선정
감리란? 발주자와 사업자 등의 이해관계로부터 독립된 자가 정보시스템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제3자의 관점에서 정보시스템의 구축 및 운영 등에 관한 사항을 종합적으로 점검하고 문제점을 개선하도록 하는 것을 말한다. - 소프트웨어 개발 보안의 준수 여부를 검증
사업자
- 소프트웨어 개발 보안 관련 기술 수준 및 적용 계획을 명시
- 소프트웨어 개발 보안 관련 인력을 대상으로 교육
- 소프트웨어 개발 보안 가이드를 참조하여 개발
- 자체적으로 보안 약점을 진단하고 제거
- 소프트웨어 보안 약점과 관련된 시정 요구사항 이행
감리법인
- 감리 계획 수립 및 협의
- 소프트웨어 보안 약점의 제거 여부 및 조치 결과를 확인
3. 소프트웨어 개발 보안 활동 관련 법령
- 개인정보 보호법
-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
-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
- 위치정보의 보호 및 이용 등에 관한 법률
- 표준 개인정보 보호 지침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 조치 기준
- 개인정보 영향 평가에 관한 고시